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의학
- 티베트의 지혜
- 한비자
- 영화
- 기공
- 성령 강림 대축일
- 사서(四書)
- 편작
- 법가
- 차크라(Chakra. cakra)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동양 도문화
- 시
- 쿤달리니
- 형명(刑名)
- 한시
- 황제내경
- 노자
- 사기열전
- 기경팔맥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사마천
- 재속회
- 가톨릭정보
- 가톨릭
- 득도
- 황노(黃老)
- 전교가르멜
- 사서오경(四書五經)
- 고전산책
- Today
- Total
목록기공 (6)
Hind's Feet on High Places
◎ 기경팔맥(奇經八脈) 8 ※ 전신 요혈(要穴) 및 경락 요혈(要穴) 1. 전신 요혈(要穴) 우리 신체 또한 축소된 우주의 전신적 활동성으로 우주 변화 원리의 기본 규율인 역(易)의 체계가 적용된다. 전신 요혈은 무극(無極)에 해당하는 머리 정수리에 위치하는 두정혈인 백회(百會)혈, 배꼽부위 제중(臍中,신궐神闕)혈, 태극(太極)에 해당하는 사관혈(四關穴), 사상(四象)에 해당하는 사총혈(四總穴), 팔괘(八卦)에 해당하는 팔회혈(八會穴), 팔맥교회혈(八眽交會穴)이 있다. 1) 사관혈(四關穴)-태극(太極) 사관혈(四關穴)은 수족(手足)에 위치하고 있는 4개의 혈로서 기를 통하게 하는 주요점인 관문(關門)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구급혈(救急穴)로 사용하며 졸도, 소아경풍, 부인난산증, 급체, 두통(열없는) 안면..
◎ 기경팔맥(奇經八脈) 5 인체와 경락을 초목에 비유하여 본다면 뿌리는 장부(臟腑)에 해당하고, 원줄기는 정경(正經)에 해당하며, 다른 원줄기는 경별(經別)에 해당한다. 서로 얽히는 원줄기는 기경(奇經)에 해당하는데 근원의 지탱력을 형성하고, 이를 통합한 묶음이 경근(經筋)을 이루어 신체적 실질활동의 근간(根幹)을 이룬다. 이를 바탕으로 잔가지가 뻗는데 인체에서는 15 낙맥(絡脈)의 분열을 시작으로 하여 다시 그를 바탕으로 분열된 낙맥이 형성되고 다시 낙맥을 근원으로 하여 손맥(孫脈)이, 손맥을 바탕으로 부맥(浮脈)이, 다시 부맥을 바탕으로 혈맥(血脈, 혈낙(血絡)이 분열하여 인체의 체표 즉 피부(皮膚)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락(經絡)이 일주야에 50회를 순회하는데 이 기능이 원활하지 못할 때 ..
◎ 기경팔맥(奇經八脈) 기공(氣功)의 수련법은 국가(한, 중, 일)별, 문파에 따라 단전호흡 등의 기(氣) 호흡법과 다양한 전통의 수련방법이 있으나 결국 기경 팔맥(奇經八脈) 및 십이경맥(十二經脈)을 소통시키는 것이다. 기경팔맥(奇經八脈)의 독맥(督脈)은 인체 뒷면 정중선을 따라 흐르며 전신의 양경(陽經)을 담당하고 임맥(任脈)은 인체 전면 정중선을 따라 흐르며 전신의 음경을 담당한다.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은 자기의 독립된 경혈을 갖고 있지만, 다른 6개의 기경육경(奇經六經)은 12정경 사이에 있으며 자기 부속의 경혈(經穴)을 가지지 않는다. 기경팔맥은 다음과 같다. 1. 독맥(督脈) 2. 임맥(任脈) 3. 충맥(衝脈) 4. 대맥(帶脈) 5. 양교맥(陽蹻脈) 6. 음교맥(陰蹻脈) 7. 양유맥(陽維脈..
◎ 기경팔맥(奇經八脈) ◎ 기경팔맥(奇經八脈) 예로부터 기경팔맥(奇經八脈)이 뚫리면 신선이 된다는 속언이 전해져 왔다. 이 말의 내포한 의미은 사마천 사기 편작(扁鵲)편을 보면 미루어 알 수 있는데 도통(道通)의 지름길이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소통이다. 이것은 신아일치(神我一致)에 이르는 기혈(氣血)의 소통의 작용이며,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말하는 쿤달리니(kundalini) 각성으로부터 사하스라라에 차크라에 이르는 각성으로서 사마디의 최고선을 이루어 낸 득도자, 또는 득도자의 혈통(血通)에 나타나는 일련의 제반 현상들이라고 생각된다. 기경팔맥(奇經八脈)의 특징은 그 이름에 표현(表現)되어져 있는데 이는 작용과 순환의 부위에 의해 명명된 명칭으로 기경팔맥(奇經八脈)은 다음과 같다. 독맥(督脈)임맥(任脈)충..
장자(莊子)의 소요(逍遙) 제물(齊物)의 절대자유의 경지 「소요유(逍遙遊」의 사전적인 의미는 ‘소(逍)’는 이리저리 거닐다. ‘요(遙)’는 먼데서 멀리 떨어지다. ‘유(遊)’는 놀다, 즐겁게 지내다. 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장자(莊子)》내편(內篇)「소요유(逍遙遊」는 장자가 자신의 사상을 총 정리 한 것으로 절대적인 인간의 자유추구에 목표를 두고 그에 도달하는 방법을 논술한 것이다. 당시 유가의 사상에 지배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유가적 사유를 비판하여 유가(儒家)의 천명사상에 대한 반발, 무위자연을 최고로 제시하였다. 상식적인 생각과 세속적인 가치를 큰 소리로 비웃는 사상가 장자(莊子)는「소요유(逍遙遊)」첫 구절에서 이처럼 말한다. “北冥有魚 其名爲鯤。鯤之大 不知其幾千里也。化而爲鳥 其名爲鵬。鵬之背 不知其..
◎ 쿤달리니 의식과 동질, 도(道)문화 기공 * 현대 중국인들의 의식구조를 논할 때 기공을 빼놓을 수는 없는 점 1. 중국의 기공학(氣功學)이 세계의 지대한 관심을 끌고 있는 것 2. 중국 민간인들의 생활속에 다양한 형태로 뿌리깊게 자리 잡은 그들의 의식구조와 수련의 형태로 드러난 정신사상의 영향력. 3. 중국에서 중의학과 함께 인체과학의 양대 봉(峯)으로 정립되고 한국 또한 한·양 의학 모두 의료기공의 접목을 꾀하고 있는점. ◎ 경락이란? 우리 신체에는 12장부가 있고 12장부에는 경락(經絡)이 얽혀져 기혈(氣血)이 순행하여 신체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만든다. 경락은 우리 지체(肢體)에서 기(氣)가 지나는 주된 통로이며 소속된 범주를 관리 통제하여 생명활동(生命活動)의 근본활동을 한다. 우리 인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