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d's Feet on High Places

기경팔맥(奇經八脈) 8 본문

14 정경(十四正經)

기경팔맥(奇經八脈) 8

성지 2011. 1. 6. 21:06

◎ 기경팔맥(奇經八脈) 8 

  

  ※
전신 요혈(要穴) 및 경락 요혈(要穴)


1. 전신 요혈(要穴)

  우리 신체 또한 축소된 우주의 전신적 활동성으로 우주 변화 원리의 기본 규율인 역(易)의 체계가 적용된다. 전신 요혈은 무극(無極)에 해당하는 머리 정수리에 위치하는 두정혈인 백회(百會)혈, 배꼽부위 제중(臍中,신궐神闕)혈, 태극(太極)에 해당하는 사관혈(四關穴), 사상(四象)에 해당하는 사총혈(四總穴), 팔괘(八卦)에 해당하는 팔회혈(八會穴), 팔맥교회혈(八眽交會穴)이 있다.


1) 사관혈(四關穴)-태극(太極)[각주:1]
4총혈은 임상치료시 중요하게 응용할 수 있는 상지 2혈, 하지 2혈로 이루어진 4개의 혈위를 말한다.  예로부터 오랜기간 면면히 이어온 의사들이 쌓아온 임상 경험의 총화인 것이다. 이 혈들은 온 몸에 펼쳐 있는 모든 혈들에 비하여 치료 범위가 매우 광범할 뿐 만아니라 한 ㆍ 열,  허 ㆍ 실  및  급성 ㆍ 만성을  막론하고  각기 독특한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으로 인하여 4총혈이라고 한다.



3) 팔회혈(八會穴)-팔괘(八卦)[각주:2]

정경(正經)의 의미별 연결인 기경(奇經)은 만성병과 상호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치료적 연대체계(連帶體系)이므로 만성 및 상호 연계성 질환에는 서로 짝지어서 사용한다.


5) 전신에 작용하는 특정혈[각주:3]

소화기계에 해당하는 육부 상, 중, 하초에 분포되어있어 각 장부의 역기(逆氣) 및 자체 장부질환을 조절하는 합혈(合穴). 하지(下肢)의 동적의미를 가지고 있는 양경(陽經)에 위치하여 합혈 목적을 더욱 확실히 했으며 특히 대장, 소장, 삼초경은 하합혈을 상용화(常用化)한다.




2. 경락 요혈(要穴)[각주:4]



지금까지 대맥운기나 소주천, 온양 등의 수련에서는 철저한 무의식을 강조해 왔다. 의식은 오로지 단전축기에만 두고 나머지는 심법만 가지고 무의식으로 수련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수련방법이었다.


온양을 경과한 후 진기의 소생처가 마련되었으므로 기를 모으기 위한 의식의 집중은 필요치 않게 되었기에 대주천수련은 의식을 사용하여 운기하여도 임, 독맥 두 맥에서 항상 진기가 소생한다. 오히려 의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진기를 어느곳으로 보낼지 모르게 되어 수련이 불가능해진다.


대주천은 인체 내로 하늘의 천기와 땅의 지기가 천지간 공간의 기와 통하여 교류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인체의 백회(두정혈, 머리 정수리에 위치)를 통하여 천기를 받아들이고 용천(12경맥 족소음신경)혈을 통하여 지기를 받아들이고 노궁(12경맥 ‘수궐음 심포경’의 손바닥 경혈)혈을 통하여 공간의 기를 받아서 서로 통하는 것이다. 


즉 대주천 운기는 손바닥의 
노궁혈과 발바닥 용천혈과 두뇌 정수리의 백회혈을 유통케하는 운기 수련인 것이다.




            
             12경맥중 수궐음심포경의 노궁혈                                       12경맥 족소음신경의 용천혈       


대주천의 행공은 대우주의 기운을 마음대로 조절하는 진운법이다. 좌우로 대칭이 되는 자세가 많고 한발로 서는 자세가 많다, 한 발로 서면 다리 근력이 강해진다. 발목,  무릎, 고관절이 튼튼해진다. 중심 잡는 능력이 좋아지고 건강적인 면에서도 탁월한 수련법이다.



단전호흡의 단계 중 대주천은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 축기, 대맥, 소주천, 온양까지는 몸 안에서만 이루어진 운기법이지만 대주천은 백회, 노궁, 용천을 통해 외부의 기운과 교류하게 된다. 이것은 즉 소우주와 대우주가 통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세는 기본적으로 좌식자세를 취하고 양손을 무릎에 올리고 손바닥은 위를 향해 자연스럽게 펴준다, 손가락을 붙이는 결인을 하면 노궁혈을 뜷을 때 방해가 된다.


대주천을 이루게 된 사람은 신체적으로 여러 가지 변화와 신기함을 느끼게 되는데 어떤 일을 해도 별로 필요를 느끼지 않으며 피로하더라도 빨리 회복된다.



대주천을 이루면 삼주(三珠: 3개의 여의주)가 깨끗이 닦여져 빛을 발하게 되는데 그 빛에 의하여 영이 맑아진다. 즉 영력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대주천이 이루어져 영력이 커지면 영감이 발달하게 된다. 이것은 삼주가 조금씩 아주 여러 번 닦여 서서히 빛을 발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상단전이 조금 밝아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양신을 이루지 못한 상태이고 기적(氣的)인 차원에서 조금 정진된 것뿐이기 때문에 영력에 의해서 어떤 현상을 보게 된다든지 해답을 구하는 것이 자주 맞아 떨어지지 않고 틀리는 경우가 있어서 나름 한계가 있는 것이다.
 



대주천 수련은 단전에서 시작해 왼다리 중앙을 뚫어 용천을 통해 기운을 밖으로 보냈다가 다시 왔던 길로 돌아와 단전으로 회수한다. 그리고 오른다리를 뚫고 단전으로 돌아와 중단전으로 기운을 보내 왼쪽 팔을 노궁을 통해 뚫고 오른쪽 팔도 마찬가지로 한 다음 마지막으로 백회를 뚫는 운기수련을 한다.  

 

* 호전반응으로 명현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단전호흡을 하면 거의 모두가 겪게 되는데 개인차가 많고 증세도 다양하다. 보통 사람이 어른이 되면 기운이나 몸의 기능이 무척 안정적으로 변한다, 좋아져도 서서히 좋아지고 나빠져도 서서히 나빠진다.


단전호흡은 앉은 자세로 단전에 의식을 집중하고 깊이 호흡하여 진기가 축기되면서 존재 자체가 비약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단순히 몸 상채만 명현을 겪는 것이 아니라 정신, 마음, 몸이 총체적으로 명현상태를 겪는다.




1) 사관혈(四關穴)-태극(太極):


1.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의 LI4 합곡(合谷 陽穴) - 원혈(原穴), 사총혈(四總穴)이며 제중(臍中) 이상 기와 양의 대표성을 가진다.
① 혈위: 엄지와 검지 갈라진 사이(제1,2 중수골간)의 중앙 최고 융기점(隆起點)
② 적응증: 두통, 육혈(코피), 혈압항진, 소화기계통 일체, 대장염, 피부병, 치통, 각종 멀미, 안면 및 오관부 모든 질환을 관리 정상화

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LR3 태충(太衝 陰穴) - 원혈(原穴), 유토혈(兪土穴), 제중이하 혈과 음의 대표성을 가진다.
① 혈위: 제1,2 지(趾) 접합부에서 1.5~2치 위, 양쪽 중족골(中足骨) 두부 뒤쪽 우묵한 곳.
② 적응증: 위장병, 다리냉증, 간장질환, 고혈압, 저혈압, 두통, 근경련(筋痙攣), 견배통(肩背痛), 경항강직(頸項强直)


2) 사총혈(四總穴)-사상(四象)


① 수태음폐경(肺經)의 Lu7열결(列缺): 경락요혈 낙혈(絡穴)
- 두항(頭項) 부위 치료
② 수양명 대장경(大臟經)의 LI4합곡(合谷): 사관혈(四關穴), 경락요혈 원혈(原穴) - 안면 오관부(五官部)치료
③ 족양명위경(胃經)의 ST36 족삼리(足三里): 경락요혈 오유혈 중 합토혈(合土穴) - 두복(肚腹), 복부(腹部) 소화기 치료
④ 족태양방광경(膀胱經) BL40위중(委中): 경락요혈 오유혈 중 합토혈(合土穴) - 요배(腰背 등허리)를 치료한다.


3) 팔회혈(八會穴) - 팔괘(八卦)
신체구조 및 활동상 8가지 계통성으로 구분되어 각 계통의 실질적 대표의미에 해당병증 발생 시에 꼭 취한다. - 팔회: 장회(臟會), 부회(腑會), 기회(氣會), 혈회(血會), 근회(筋會), 골회(骨會), 맥회(脉會), 수회(髓會)이다.


① 12경맥 족궐음간경(肝經) LR13 장문(章門) - 장회(臟會)
   족태음비경(脾經)의 모혈(募穴). 교회(交會): 족소양(足少陽)
- 오장의 병(폐장, 심장, 간장, 신장, 비장)
② 기경(奇經) 임맥(任脈) CV12 중완(中脘) - 부회(腑會)
   위경(胃經)의 모혈(募穴) 교회(交會): 수태양(手太陽), 수소양(手少陽), 족양명(足陽明)
 - 육부(六腑)의 병(위, 대장, 소장, 담, 방광, 삼초)
③ 기경(奇經) 임맥(任脈) CV17 단중(膻中) - 기회(氣會),
   수궐음심포경(心包經)의 모혈(募穴), 
   교회(交會): 족태음(足太陰), 족소음(足少陰), 수태양(手太陽), 수소양(手少陽)
 -  이명(耳鳴), 전중(羶中) 기병(氣病), 기체(氣滯), 기울(氣鬱), 기허(氣虛)
④ 12경맥 족태양방광경의 BL17 격유(膈兪) - 혈회(血會)
- 모든 혈병: 어혈(瘀血), 출혈(出血), 혈허(血虛)
⑤ 12경맥 족소양담경의 GB34 양릉천(陽陵泉) - 근회(筋會)
   경락요혈 오유혈의 합토혈(合土穴)
 - 모든 근병(筋病) 경련(痙攣). 근마비(筋痲痺). 관절통(關節痛)
⑥ 12경맥 족태양방광경의 BL11 대저(大杼) - 골회(骨會)
   교회(骨會): 수족태양(手足太陽), 수소양(手少陽), 독맥별락(督脉別絡)
- 모든 골병(骨病): 골위(骨痿), 부골저(附骨疽 )
⑦ 12경맥 수태음폐경(肺經)의 Lu9 태연(太淵) - 맥회(脉會):
- 모든 血脈의 병(출혈)
⑧ 담경의 GB39 현종(懸鍾) - 수회(髓會)
- 일명 절골(絶骨), 모든 수병(髓病), 뇌수(腦髓), 척수(脊髓), 골수(骨髓)


4) 팔맥교회혈(八眽交會穴)
- 정경(正經)의 의미별 연결인 기경(奇經)은 만성병과 상호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치료적 연대체계(連帶體系)이므로 만성 및 상호 연계성 질환에는 서로 짝지어서 사용한다.

(1) 공손(公孫) - 내관(內關): 생식기, 소화기, 심장, 흉 및 정신 신경성 질환에 관여
① SP4 공손(公孫): 기경(奇經)의 충맥(衝脈), 족태음비경(脾經)의 경혈.

- 경락요혈(經絡要穴) 낙혈(絡穴)
② PC6 내관(內關): 기경(奇經)의 음유맥(陰維脉), 수궐음심포경(心包經)이다.

- 경락요혈(經絡要穴) 낙혈(絡穴)

(2) 후계(後谿) - 신맥(申脉): 독맥(督脈), 대장경 및 인체 뒷면에 형성되는 모든 질환
③ SI3 후계(後谿): 독맥(督脉), 수태양소장경(小腸經)의 경혈(經穴)
- 경락요혈 오유혈 중 유목혈(兪木穴)
④ BL62 신맥(申脈)- 기경(奇經)의 양교맥(陽蹻脉), 족태양방광경(膀胱經)

(3) 족임읍(足臨泣) - 외관(外關): 수소양경 및 인체측면에서 발생하는 모든 질환
⑤ GB41 족임읍(足臨泣): 기경(奇經)의 대맥(帶脉), 12경맥 족소양담경(膽經)
- 경락요혈 오유혈중 유목혈(兪木穴)
⑥ TE5 외관(外關): 기경(奇經)의 양유맥(陽維脈), 12경맥 수소양삼초경(三焦經)
- 경락요혈 낙혈(絡穴)

(4) 열결(列缺) - 조해(照海): 폐경, 흉부 및 안면 질환, 생식기 질환
⑦ Lu7 열결(列缺): 기경의 임맥(任脉), 12경맥의 수태음폐경(肺經)
- 전신요혈 사총혈(四總穴), 낙혈(絡穴)
⑧ K6 조해(照海): 기경(奇經)의 음교맥(陰交脉), 족소음신경(腎經)


1. 독맥(督脈)의 통혈 - 후계(後谿),
2. 임맥(任脈)의 통혈 -
열결(列缺)
3. 충맥(衝脈)의 통혈 - 공손(公孫)
4. 대맥(帶脈)의 통혈 -
임읍(臨泣)
5. 양교맥(陽蹻脈)의 통혈 - 신맥(申脈)
6. 음교맥(陰蹻脈)의 통혈 - 조해(照海)
7. 양유맥(陽維脈)의 통혈 - 외관(外關)
8. 음유맥(陰維脈)의 통혈 - 내관(內關)



5) 전신 특정혈

㉠  귀곡혈(鬼哭穴): 소상(少商), 은백(隱白) - 정신질환 치료
  ▷13귀혈(鬼穴): 각종 정신질환에 특별히 유효한 13혈은 모두 귀(鬼)자가 붙혀진 별명이 있다. 즉 인중(귀궁, 귀객, 청귀시), 상성(귀당), 신회 (귀문), 백회(귀문), 곡지(귀신), 척택(귀당), 간사(귀강), 태연(귀심), 태릉(귀심), 노궁(귀로), 소상(귀신), 신맥(귀로), 은백(귀첩)등 한편 인중, 풍부, 협거, 승장, 상성, 설하, 곡지, 태릉, 중봉, 신맥, 은백, 회음(남), 옥무두혈(여) 등의 혈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일체의 정신질환.

㉡  사만혈(四彎穴): 위중(委中), 곡택(曲澤) - 출혈질환. 급성관격. 급체. 中署  * 선(先) 사만(四彎)혈 출혈 = 건측(健側)부터 男: 좌(左) 女: 우(右)

㉢  삼재(三才)혈 : 백회(百會, 天), 선기(璇氣, 人), 용천(湧泉, 地)

㉣  삼부혈 : 대포(大包, 上), 천추(中), 지기(下) - 내상질환(內傷疾患)

㉤  중풍칠처혈(中風七處穴): 백회(百會)혈, 견정(肩井)혈, 곡빈(曲鬢), 곡지(曲池), 풍시(風市), 족삼리(足三里), 현종(懸鍾)혈 -  중풍예방, 치료혈.
한의사들은 오랜기간 중풍치료를 위한 피나는 연구와 무수한 임상을 통해 이곳 7혈에 침을 놓고 뜸을 뜨는 것이 가장 유효한 치료법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중풍은 예로부터 백병지장(白病之長)이라고 하여 난치병 중 난치병으로 여겨 왔다.  전신 수족 한쪽 못쓰기, 온몸 못쓰기, 언어장애 등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중풍에 걸리게 되면 의학상 완치불가능하기 때문에 침 뜸 치료에 주력하게 된다.

㉥  회양구침혈(回陽九針穴): 아문, 노궁, 삼음교, 용천, 태계, 중완, 환도, 족삼리, 합곡혈

㉦ 각기팔처혈(脚氣八處穴): 각기병에 뜸을 뜨는 8혈로 풍시, 복토, 독비, 내슬안, 족삼리, 상거허, 하거허, 현종혈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각기병은 현대의학상의 각기병, 즉 Vt B의 부족으로 다리가 붓는 병만이 아니리 현대의 각기병을 비롯한 다리신경통 및 마비, 힘없는 다리 등 제반 다리병이다.
옛날 의사들은 일체의 다리병이 풍ㆍ한ㆍ습의 3사(三邪)에 의하여 생긴다고 보고 다리에 있는 8혈을 골라 뜸뜨고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치료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혈에 각각 뜸을 20-30장을 뜨면서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일체의 다리 병이 치료된다.

㉧ 음양이총혈(陰陽二總穴): 합곡 보(補). 삼음교 사(瀉). - 통경(通經) 낙태(落胎-주의)
                          합곡 사(瀉), 삼음교 보(補). - 안태(安胎)

㉨ 육지구(六之灸) 육지구란 위함을 비롯한 위장병 일체 및 딸꾹질, 천식, 늑막염 등의 치료에 적용되는 6혈에 뜸을 뜨는 것을 말한다. 즉 등 양쪽에 있는 격유, 간유, 비유, 양쪽을 합한 6혈에 각각 뜸 7 ~ 15장을 떠서 고질적인 위장병과 호흡기병을 치료해내는 방법이다. 



6)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

① ST37 상거허(上巨虛: 족양명위경) - 대장(大腸)과 합혈(合穴)

② ST39 하거허(下巨虛: 족양명위경) - 소장과 합혈(合穴)
③ BL39 위양(委陽: 족태양방광경) - 삼초(三焦)와 합혈
④ T36 족삼리(足三里: 족양명위경) - 위(胃)와 합혈,
사총혈(四總穴)
   합토혈(合土穴): 두복(肚腹), 복부(腹部) 소화기 치료
⑤ BL40 위중(委中 족태양방광경) - 방광과 합혈 합토혈(合土穴),
사총혈(四總穴)
⑥ GB34 양릉천(陽陵泉 족소양담경)-담경(膽經)의 합토혈(合土穴), 
팔회혈(八會穴) - 근회(筋會) 


 

7)  경락(經絡) 요혈(要穴): 보다 자세한 기재는 본 블로그 <14정경 2> 참조


경락(經絡) 요혈(要穴) 표

경맥(經脉)

기종혈

오수(五輸), 오행혈(五行穴)

요혈(要穴)

양경맥

陽經脉

 

정금

正金

형수

滎水

유목

兪木

경화

経火

합토

合土

원혈

原穴

락혈

絡穴

극혈

隙穴

모혈

募穴

유혈

兪穴

음경맥

陰經脉

 

정목

井木

형화 

滎火

유토

兪土

경금

経金

합수

合水

수태음  폐경
手太陰  肺經

중부-소상

中府-少商

소상

少商

어제

魚際

태연

太淵

경거

經渠

척택

尺澤

태연

太淵

열결

列缺

공최

孔最

중부

中府

폐유

肺兪

수양명대장경
手陽明大腸經

상양-영향

商陽- 迎香

상양

商陽

이간

二間

삼간

三間

양계

陽谿

곡지

曲池

합곡

合谷

편력

偏歷

온유

溫溜

천추

天樞

대장유

大腸兪

족양명  위경
足陽明  胃經

승읍-여태 

承泣-厲兌

여태

厲兌

내정

內庭

함곡

陷谷

해계

解谿

족삼리足三里

충양

冲陽

풍륭

豊隆

양구

梁丘

중완

中脘

위유

胃兪

족태음  비경
足太陰  脾經

은백-대포

隱白-大包

은백

隱白

대도

大都

태백

太白

상구

商丘

음릉천陰陵泉

태백

太白

공손

公孫

지기

地機

장문

章門

비유

脾兪

수소음  심경
手少陰  心經

극천-소충

극천-少冲

소충

少冲

소부

少府

신문

神門

영도

靈道

소해

少海

신문

神門

통리

通里

음극

陰隙

거궐

巨闕

심유

心兪

수태양소장경
手太陽小腸經

소택-청궁

少澤-廳宮

소택

少澤

전곡

前谷

후계

後谿

양곡

陽谷

소해
小海

완골

腕骨

지정

支正

양노

養老

관원

關元

소장유

小腸兪

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

정명-지음

睛明-至陰

지음

至陰

통곡

通谷

속골

束骨

곤륜

崑崙

위중
委中

경골

京骨

비양

飛陽

금문

金門

중극

中極

방광유

膀胱兪

족소음  신경
足少陰  腎經

용천-유부

湧泉-兪府

용천

湧泉

연곡

然谷

태계

太谿

복유

復溜

음곡

陰谷

태계

太谿

태종

太鐘

수천

水泉

경문

京門

신유

腎兪

수궐음심포경
手厥陰心包經

천지-중충 

天池-中冲

중봉

中封

노궁

勞宮

태릉

太陵

간사

間使

곡택

曲澤

태릉

太陵

내관

內關

극문

隙門

단중

膻中

궐음유

厥陰兪

수소양삼초경
手少陽三焦經

관충-사죽공關冲-絲竹空

관충

關冲

액문

液門

중저

中渚

지구

支溝

천장

天井

양지

陽池

외관

外關

회종

會宗

석문

石門

삼초유

三焦兪

족소양  담경
足少陽  膽經

동자료-규음

瞳子髎-竅陰

규음

竅陰

협계

俠谿

임읍

臨泣

양보

陽輔

양릉천

陽陵泉

구허

丘墟

광명

光明

외구

外丘

일월

日月

담유

膽兪

족궐음  간경
足厥陰  肝經

태돈-기문

太敦-氣門

태돈

太敦

행간

行間

태충

太冲

중봉

中封

곡천

曲泉

테충

太冲

여구

蠡溝

중저

中渚

기문

期門

간유

肝兪

 

8)
단전호흡 대주천(大周天) 도서참조:《석문호흡》-석문출판사-   p 65-69


 

- 다음 기경팔맥 8. 양유맥(陽維脈 Yang Linking Vessel Meridian) 계속 - 


  1. [/footnote]
    사관혈(四關穴)은 수족(手足)에 위치하고 있는 4개의 혈로서 기를 통하게 하는 주요점인 관문(關門)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구급혈(救急穴)로 사용하며 졸도, 소아경풍,  부인난산증, 급체, 두통(열없는) 안면마비, 안면 근육경련 치료의 주혈(主穴)이다.


    2) 사총혈(四總穴)-사상(四象)[footnote] [본문으로]
  2. [/footnote]

    신체구조 및 활동상 8가지 계통성으로 구분되어 각 계통의 실질적 대표의미에 해당되는 병증 발생 시에 꼭 취한다. 팔회는 장회(臟會), 부회(腑會), 기회(氣會), 혈회(血會), 근회(筋會), 골회(骨會), 맥회(脉會), 수회(髓會)이다.



    4) 팔맥교회혈(八眽交會穴)-팔괘(八卦)[footnote] [본문으로]

  3. [/footnote] 
    ㉠ 귀곡혈(鬼哭穴)과 13귀혈(鬼穴) -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일체의 정신질환.
    ㉡ 사만혈(四彎穴) - 출혈질환. 급성관격. 급체
    ㉢ 삼재(三才)혈 - 백회(百會, 천:天), 선기(璇氣, 인:人), 용천(湧泉, 지:地)
    ㉣ 삼부혈 - 내상질환(內傷疾患)
    ㉤ 중풍칠처혈(中風七處穴) - 중풍예방, 치료
    ㉥ 회양구침혈(回陽九針穴)
    ㉦ 각기팔처혈(脚氣八處穴): 다리 신경통 및 마비, 힘없는 다리 등 제반 다리병
    ㉧ 음양이총혈(陰陽二總穴)
    ㉨ 육지구(六之灸): 위장병 일체 및 딸꾹질, 천식, 늑막염 등의 질환을 6혈에 적용 치료



    6)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footnote] [본문으로]

  4. [/footnote]


       인체는 소우주(小宇宙)의 전신적 활동성으로 인해 우주변화 원리적 기본규율인 역(易: 변화)체계에 의해 적용되어 있다. 우주와 소우주인 인간이 정신적인 세계관을 지닌다는 점은 같지만 차이점은 인간이 욕심을 지닌다는 것이다.


    * 비경(脾經)의 대락(大絡): 대포(大包)

      비의 통혈을 돕도록 모든 경을 주관하고(脾主運化的) 영기(營氣)를 전신으로 공급하는 시발점으로. 음양의 모든 경락에 연결되므로 대락(大絡)이라 하며 전신질환 즉 몸살, 권태, 무력, 열증, 부종, 수척, 비만 등에 쓰인다.

    경락요혈(要穴)은 각 경락에 원혈(原穴), 모혈(募穴), 유혈(兪穴), 극혈(隙穴), 낙혈(絡穴), 오유혈(五兪穴)인 경혈(經穴)을 말하며 이들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기 다른 치료에 활용되며 각주에 도표화하였다.



    1) 원혈(原穴)-무극(無極)

    모든 질병을 원혈 치료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원혈의 원(原)은 그 경락의 근본을 다스려 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위치는 수족(手足)의 관절에 있고 각 장부의 원기 조절 하는 대표 혈로서 원기와 자연 치유력을 증가시키는데 한 경락의 병적 반응처, 진찰점, 치료 점으로 활용한다.


    2) 모혈(募穴)-태극(太極, 陰)

    모(募)는 부른다는 뜻으로 경락의 기를 불러 모으는 혈이라는 의미이다. 병이 발생하자마자 그 경락의 기를 끌어 모음으로써 질병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혈위(穴位)에 해당한다.

    질병이 발생하면 바로 모혈에 반응이 나타나 반응이 나타나거나 변화가 오므로 잘 관찰함으로써 새로 생긴 병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하는 혈인데 위치는 흉복부와 해당 장부 가장 가까이 있으며 자기의 경락에 있는 것도 있고 타 경락에 있는 혈도 있다.

    장부의 음기(陰氣)의 집중처이며 한 경락 음(陰)의 대표 혈이며 음혈병(陰血病) 및 직접 장부의 병에 활용되며 한 경락의 병적 반응처로써 진찰점, 치료점으로 활용된다.



    3) 유혈(兪穴)-태극(太極, 陽)

    유(兪)는 오유혈의 유와같이 머문다는 뜻이나 여기에서 말하는 유혈(兪穴)은 모두 방광경에 소속되어있는 양(陽)의 장부와 관련된 것으로 구병(久病) 즉 질병이 발생하여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경우 이 유혈(兪穴)에 압통(壓痛)이 예민하게 나타나서 진단과 치료에 응용하여 효과를 거두는 혈(穴)이다.

    위치는 배부(背部)에 있으며 해당 장부 가장 가까이 있고 장부의 양기의 집중 처이며 한 경락 양의 대표 혈이며 양기병(陽氣病) 및 직접 장부의 병에 활용되며 한 경락의 병적 반응 처로써 진찰 점, 치료 점으로 활용된다.


    4) 극혈(隙穴)

    극(隙)은 병사가 집중적으로 모여들게 되는 틈이라는 의미이며 어떤 경락에 병이 생기면 바로 그 경락의 극혈에 압통이 나타나고 그 혈에 자침함으로써 병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급성병의 치료에 응용되는 혈인 동시에 진단에 활용되기도 한다. 위치는 팔(肘), 다리(膝)관절 상하에 있고 해당 장부에서 기혈의 유동성이 가장 심한 혈이다.


    5) 낙혈(絡穴)

    락(絡)이란 갈라져 나간다는 뜻으로 경락에 침입한 병사와 기가 다른 경락으로 갈라져 나가기 시작하는 혈이다.  

    위치로는 사지, 팔꿈치, 무릎 아래 사지(四肢) 주슬(肘膝: 팔꿈치, 무릎)아래에 있고 경락에서 경락으로 연락되는 혈(穴)이며 표리의 경맥을 소통시키는 역할을 하며 표리양경(表裏兩經)과 관련되는 만성병에 활용한다.



    6) 오유혈(五兪穴 : 오수혈五輸穴)오행혈(五行穴)

    경락의 시작과 끝에서 장부간 활동성 기(氣)의 생장이 이루어지는데 무형의 기(氣)를 현실적인 수류(水流)로 비유하여 유주(流注)라 칭했으며 자연 물 흐름의 생성과 이동 과정으로 현실화하여 대용시킨 의미이다.

    오유혈이란 정(井), 형(滎), 유(兪), 경(經), 합(合)의 오혈을 뜻한다. 이 혈은 각 경락의 무형인 오행혈(五行穴)과 일치하여


    손발의 끝이 정(井),

    그 다음의 오행혈이 형(滎),

    그 다음의 오행혈이 유(兪),

    그 다음의 오행혈이 경(經),

    팔꿈치나 무릎 부근의 마지막 오행혈이 합혈(合穴)이다.

    각 혈마다 오행(五行)의 의미와 치료 목적이 다 다르고 용도도 다르다.



    기경팔맥(奇經八脈)

    7. 음유맥(陰維脈 Eum Linking Vessel Meridian)


      음유맥의 유(維)는 얽어맨다는 뜻이며, 모든 음경사이를 운행하면서 얽어매는 것을 음유라고 한다. 음유에 병들면 춥고 정신적으로 병이된다.

    -안쪽 종아리(축빈)에서 시작해서 허벅지를 올라간다.

    -폐에 들어가 비경과 복애와 대횡에서 회합한다.

    -가슴을 따라 유방으로 들어가고 임맥의 염천과 천돌에서 만난다.


    ○ 소속 경혈 수: 8혈 좌우 16혈

    ○ 시작 혈: 축빈(築賓), 끝 혈: 염천(廉泉)

    ○ 통혈: PC6 내관(內關: 경락요혈(要穴)  낙혈(絡穴) - 수궐음심포경(心包經)

    ○ 교회 혈: 축빈-신경, 기충, 부사, 대횡, 복애-비경, 기문-간경, 천돌, 염천-임맥

    ○ 주치범위 및 작용부위: 흉완만민비창, 장명설사, 탈항, 반위열격, 복중비괴견횡, 현늑동통, 부녀협통, 심통, 결흉, 상한, 학질 등


    * 음유맥(陰維脈)에 병이 생기면 가슴앓이가 많다. 음유는 모든 음(陰)을 운행케 해서 영(營)을 주관한다.





    * 순행노선 - 유주(流注)

    음유맥은 안쪽 종아리의 모든 음경의 교회하는 부위인 신경의 축빈에서 시작하여 넓적다리의 안쪽으로 올라가 아랫배로 들어가 비경과 복애, 대횡에서 만나며 간경과는 부사와 기문에서 만나며 가슴을 따라 유방으로 들어가고 임맥과는 천돌에서 만난다.


    ① 축빈(築賓: 족소음신경腎經) → ② 기충, 충문(衝門: 족태음비경) → ③ 부사(府舍: 족태음비경脾經) → ④ 대횡(大橫: 족태음비경) → ⑤ 복애(腹哀: 족태음비경) → ⑥ 기문(期門: 족궐음肝經) → ⑦ 천돌(天突: 임맥) → ⑧ 염천(廉泉: 임맥)
     

     

    [참고] 단전호흡 -  4. 대주천(大周天)[footnote] [본문으로]

'14 정경(十四正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정경(正經) 2  (0) 2011.01.21
14 정경(正經) 1  (0) 2011.01.15
기경팔맥(奇經八脈) 9  (5) 2011.01.10
기경팔맥(奇經八脈) 7  (0) 2011.01.02
기경팔맥(奇經八脈) 6  (0) 2010.12.28
기경팔맥(奇經八脈) 5  (0) 2010.12.23
기경팔맥(奇經八脈) 4  (0) 2010.12.2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