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기경팔맥
- 사서오경(四書五經)
- 득도
- 고전산책
- 노자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가톨릭
- 기공
- 편작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전교가르멜
- 한시
- 형명(刑名)
- 황제내경
- 황노(黃老)
- 차크라(Chakra. cakra)
- 사마천
- 한의학
- 사기열전
- 성령 강림 대축일
- 영화
- 사서(四書)
- 시
- 티베트의 지혜
- 가톨릭정보
- 한비자
- 재속회
- 쿤달리니
- 법가
- 동양 도문화
- Today
- Total
Hind's Feet on High Places
기경팔맥(奇經八脈) 3 본문
2. 임맥(任脈 CV - Conception Vessel)
임맥(任脈)의 임(任)은 맡는다는 뜻이며 배, 가슴, 목의 가운데를 순행하여 전신의 음경(陰經)을 담당하므로 음맥의 바다라고 하여 ‘음해지해(音海之海)’라고 부른다. 임맥은 생식기로 들어가는 비뇨생식기 질환과 흉복부의 모든 증상을 관장하는 중요한 경락이다. 포태를 주관하여 여성의 부인 질환 및 임신과 관련이 깊고 회음(會陰), 곡골(曲骨), 중극(中極)은 비뇨기 생식기를 관장한다.
-임맥은 생식기와 항문사이(회음)에서 시작하여 음모가 난 부분으로 올라간다.
-뱃속으로 관원을 지나 인후로, 턱으로 올라가 아랫잇몸과 얼굴을 돌아 눈으로 들어간다.
-눈에서 양교맥과 위경에 연결된다.
○ 소속 경혈 수: 정중 24혈(穴)
○ 시작 혈: 회음(會陰) 끝 혈: 승장(承漿)
○ 통혈: Lu7 열결(列缺: 전신요혈 사총혈(四總穴), 경락요혈(要穴) 낙혈(絡穴) - 12경맥의 수태음폐경(肺經)
○ 교회혈: 승읍(承泣) - 위경/은교 - 독맥, 중요혈: 낙혈-구미(鳩尾)
○ 임맥은 정중앙 백선으로서 다른 경맥의 복부 및 가슴부위의 경혈을 찾는데 기준(이정표)이 된다.
○ 임맥은 그 유주가 표층은 물론 심처까지 흐른다.
○ 임맥의 경혈 중에는 십이정경 십이모혈(十二募穴)중 다음과 같은 여섯 개의 모혈(募穴)이 있다.
- 방광 모혈: 중극(中極) - 소장경 모혈 : 관원(關元) - 삼초경 모혈 : 석문(石門)
- 위경 모혈: 중완(中脘) - 심경 모혈 : 거궐(巨闕) - 심포경 모혈 : 단중
○ 주치범위 및 작용부위: 임맥(任脈)에 병이 들면 남자는 7산(충산, 호산, 퇴산, 궐산, 혈산, 기산, 수산)이 생기고 여자는 적백대하와 아랫배에 적취가 생긴다. 몸의 앞 가운데에 위치하여 전신증상 및 내장질환에 독특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인후, 흉복, 생식, 비뇨, 소화질환, 한성(몸이 냉함)의 질환에 작용한다.
※ 임맥(任脈)의 흐름
임맥은 그 순행 노선이 피부 표면은 물론 장부에 까지 흐른다. 한 가닥은 ‘중극’ 아래에서 시작하여 밑으로 내려가 회음부로 빠져나와 음모가 난 가운데로 올라가 뱃속을 따라 관원, 배꼽(제중), 중완, 단중 등 몸의 앞 가운데를 따라 곧게 올라가 목 고명에 도달하고 다시 얼굴로 가서 얼굴을 돌아 눈 속으로 들어간다. 다른 한 가닥은 자궁에서 시작, 척추를 관통하여 위로 올라가 배부(背部)를 순행한다.
* 임맥(任脈) 24혈(穴)
1. 회음(會陰) - 남자는 음낭과 항문의 중간, 여자는 후음순 아래쪽 끝과 항문의 중간에 위치함, 익수시, 질식, 요도염, 전립선염, 월경불순, 기운이 빠져 기진맥진하는 휴극, 간질(지랄병), 음부소양증(가려움증), 음부에서 땀이 많이 나는 음부다한증, 미주알이 빠지는 탈항, 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유정, 임질 치유 혈임. 정신병을 관장하는 혈임.
2. 곡골(曲骨) - 불두덩이 뼈가 합치는 곳의 한가운데 위쪽 가장자리, 제중 똑바로 밑으로 5치(골도법)임, 월경불순, 자궁이 생식기 밖으로 쳐지는 자궁탈수, 방광염, 고환염, 양기부족(양위), 생식기발기불능(음위), 야뇨, 유정, 복수, 임질, 아랫배 가득한 소복창만 치유 혈임. 여자는 냉, 남자는 발기치료 특효 혈임.
3. 중극(中極) - 방광경모혈: 곡골 혈에서 똑바로 위 1치. 제중에서 똑바로 밑 4치임. 유정, 유뇨. 오줌을 못 누는 요폐, 양기부족(양위), 생식기발기불능(음위), 월경불순, 냉대하, 불임증, 요도감염(오줌소태), 월경통, 음부소양증, 좌골신경통, 조루증 혈임.
4. 관원(關元) - 소장경 모혈: 곡골 혈에서 똑바로 위 2치, 제중에서 똑바로 밑 3치(골도법)임. 하복통, 설사, 곱똥을 누는 이질, 요도감염증, 신장염, 월경불순, 월경통, 냉대하, 여자내성기염, 자궁출혈, 자궁이 생식기 밖으로 쳐지는 자궁탈수, 양기부족(양위), 발기불능(음위), 오줌을 싸는 유뇨, 전신쇠약 혈임.
5. 석문(石門) - 삼초경 모혈: 곡골 혈에서 똑바로 위 3치, 제중에서 똑바로 밑 1치(골도법)임. 월경이 계속 흐르는 붕루, 무월경, 몸이 붓는 부종, 오줌을 못 누는 요폐, 유선염, 소화흡수촉진, 설사, 피임, 고혈압, 몸이 찬 신냉 치유 혈임.
6 기해(氣海) - 곡골 혈에서 똑바로 위 3.5치, 제중에서 똑바로 밑 1.5치(골도법)임. 신경쇠약, 배가 더부룩한 복창, 하복통, 월경불순, 월경통, 오줌을 싸는 유뇨, 오줌이 자주 마려운 빈뇨, 오줌을 못 누는 요폐, 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유정, 요통, 발기불능인 음위, 체질허약, 양기부족 치유 혈임.
7. 음교(陰交) - 곡골 혈에서 똑바로 위 3치, 제중혈에서 바로 밑 1치(골도법)임. 월경불순, 월경이 계속 흐르는 붕루, 냉대하, 부종, 자궁이 생식기 밖으로 처지는 탈수, 생식기통, 산후복통, 산후대하부지 및 출혈, 음부소양증, 아랫배가 찬 하복부냉감 치유 혈임.
8. 신궐(神闕) - 일명 제중(臍中): 배꼽(제와)의 한 가운데임. 급만성장염, 이질, 장결핵, 전신이 붓는 수종, 미주알이 빠지는 직장탈출, 식중독, 손발이 몹시 찬 사지궐냉, 변비, 뇌졸중, 인사불성, 졸도, 일사병, 체질허약, 자주 유산하는 유산병 치유혈 정신혼미, 중풍예방 혈
9. 수분(水分) - 제중 똑바로 위 1치, 중완 똑바로 밑 3치(골도법)임, 복수, 구토, 설사, 신장염, 몸이 뭇는 부종, 전신이 붓는 수종, 복막염, 배에서 소리 나는 장명 치유 혈임.
10. 하완(下脘) - 제중(신궐) 똑바로 위 2치, 중완 똑바로 밑 2치(골도법)임. 소화불량, 위통, 위가 밑으로 쳐지는 위하수, 설사, 구토, 배가 더부룩한 복창 치유 혈임.
11. 건리(建里) - 제중(신궐) 똑바로 위 3치, 중완 똑바로 밑 1치(골도법)임. 급만성 위장염, 복수, 배에 소리가 나는 장명, 복통, 소화불량, 위가 늘어나는 위확장. 위경련, 위가 밑으로 쳐지는 위하수, 왼쪽 젖가슴이 죄이고 아픈 협심증 치유 혈임.
12. 중완(中脘) - 부회(腑會), 위경 모혈: 제중(신궐) 똑바로 위 4치, 가슴뼈 밑의 각이진 곳과 제중을 이은 선의 중간점 즉 가슴뼈 밑의 각이 진 곳 똑바로 밑으로 4치(골도법)임. 급만성위염 등 모든 위질환, 구토, 신경쇠약, 정신병, 변비, 설사, 창자가 막히는 장폐색, 모든 육부(위, 담, 대장, 소장, 방광, 삼초)질환 치유 혈임.
13. 상완(上腕) - 제중(신궐) 똑바로 위 5치, 중완혈 똑바로 위 1치(골도법)임. 급만성위염 등 모든 위 질환, 구토, 횡격막경련(딸꾹질), 윗배가 더부룩한 상복부팽만 치유 혈임.
14. 거궐(巨闕) - 심경 모혈: 제중(신궐) 똑바로 위 6치, 중완 똑바로 2치(골도법)임. 정신병, 왼쪽 젖가슴이 아픈 협심통 등 모든 심장질환, 전간(지랄병), 구토, 위통, 건망증, 간염, 횡격막경련(딸꾹질) 치유 혈임.
15. 구미(鳩尾) - 낙혈(絡穴): 제중(신궐) 똑바로 위 7치, 가슴뼈 밑의 각이 진 곳에서 똑바로 밑 1치. 명치(검상돌기), 뼈의 아래쪽 가장자리 중간임. 왼쪽 젖가슴을 쥐어짜듯 아픈 심교통, 전간(지랄병), 딸꾹질, 각종 정신병, 천식, 구토, 급체, 위통, 심계 치유 혈임. 골다공증 환자는 누르면 부러짐.
16. 중정(中庭) - 단중혈 똑바로 밑 1.6치, 다섯 번째 늑간의 가운데와 서로 평평한 가슴뼈의 한가운데 임. 천식, 구토,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연하곤란, 아기가 젖을 토하는 소아토유, 위산과다, 식도염, 가슴과 옆구리가 뻐근한 흉협창만 치유 혈임.
17. 단중(膻中) - 기회(氣會), 심포경 모혈: 흉골(가슴뼈) 한가운데, 좌우 유두 사이의 중간점, 네 번째 늑간의 가운데와 서로 평평한 곳임. 기관지천식, 기관지염(해수), 흉통, 유선염, 젖이 안 나오는 유즙분비부족, 늑간신경통, 모든 심장병, 폐․기관지에서 나오는 피를 토하는 각혈, 위․식도에서 나오는 피를 토하는 토혈, 갑상선 증대 치유 혈임.
18. 옥당(玉堂) - 단중혈 똑바로 위 1.6치, 세 번째 늑간의 가운데와 서로 평평한 가슴뼈 한가운데임. 기관지염(해수), 기관지천식, 모든 폐질환, 늑간 신경통, 가슴 아픈 흉통 치료 혈임.
19. 자궁(紫宮) - 옥당혈 똑바로 위 1.6치, 두 번째 늑간의 가운데와 서로 평평한 가슴뼈 한가운데임. 기관지가 늘어나는 기고나지 확장증. 기관지 천식, 가슴이 아픈 흉통, 폐결핵 치유 혈임.
20. 화개(華蓋) - 자궁혈 똑바로 위 1.6치, 첫 번째 늑간의 가운데와 서로 평평한 가슴뼈 한가운데임. 기관지염(해수), 기관지천식, 늑간신경통, 목이 아픈 인후염, 흉막염 치유 혈임.
21. 선기(璇璣) - 천돌혈 똑바로 밑 1치(동신촌법1)), 가슴뼈 윗부분의 한가운데임. 기관지천식, 기관지염(해수), 식도경련, 성문경련, 목이 붓는 인종, 편도선염, 백일해 치료 혈임.
22. 천돌(天突) - 가슴뼈 윗부분의 위쪽 가장자리 한가운데에서 똑바로 위 0.5치(동신촌법), 손가락을 누르면 쑥 들어가는 곳임. 성대질환, 식도경련, 신경성구토, 횡경막경련(딸꾹질), 갑상선증대, 인후염, 기관지염, 가관지 천식 치유 혈임. 고혈압, 기침치료에 좋음.
23. 염천(廉泉) - 목 앞에 툭 튀어나온 후두용기 약간 위쪽에 있는 설골(舌骨) 밑쪽 가장자리의 움푹 들어가는 곳임. 기관지염, 목이 아픈 인후염, 편도선염, 언어장애, 목이 쉬는 성음시아. 갑자기 말을 못하는 실어증 치유 혈임.
24. 승장(承漿) - 턱의 위쪽으로 생기는 가로무늬의 한가운데 즉 이순구중앙임. 안면신경마비(와사증), 치통, 안면근경련, 침을 흘리는 유연, 입안이 허는 궤양성 구내염, 얼굴이 붓는 안면부종, 얼굴근육이 아픈 가차신경통 치유 혈임. 당뇨병, 구내염에도 좋음.
[참고]
* 중극(방광 모혈), 천돌 혈만 아래 방향을 마사지하고 나머지 모든 임맥 경혈은 위쪽으로 마사지해야 한다.
* 임신하면 제중(신궐)이하는 절대 만지지 않아야 한다. 석문(石門)혈을 잘못 지압하면 석녀가 된다.
1) 지촌법: 침, 지압에서 혈(穴)을 찾아내어 위치를 정하는 방법을 정위법(正位法)이라고 한다. 정위법은 1. 분촌절량법(分寸折量法: 골도법骨度法), 2. 지촌법(指寸法), 3. 체표표식법(體表標識法), 또는 특수한 동작이나 자세에 의한 취혈법 등이 있다.
지촌법은 손가락의 어느 한 부분의 넓이를 일정한 척도로 하여 혈(穴)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임상(臨床)에서 골도법과 함께 자주 쓰이는 방법으로 중지 동신촌법(中指 同身寸法)과 지량법(指量法)이 있다.
(1) 중지 동신촌법(中指 同身寸法): 환자의 중지 끝과 엄지 끝을 붙여 하나의 동그라미를 만들고 중지 제일 관절과 이관절의 측면에 있는 양단의 횡문두의 거리를 1寸으로 환산하며 이것을 동신촌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사지부(四肢部)의 혈(穴)을 찾는다거나 배부(背部)의 횡을 재는 척도의 기준으로 적용된다.
(2) 지량법(指量法): 환자의 인지 중간에 있는 관절 즉 제일 제이 관절의 폭을 1寸(一橫指)로 정한다. 인지와 중지를 합해서 1.5촌(二橫指)로 한다. 인지 중지 무명지 소지를 합해서 3寸(四橫指)라고 한다.
이밖에도 엄지에 손톱이 난 자리와 동일선상의 폭도 1寸(拇指寸)으로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사지(四肢)의 혈(穴)을 찾는다던가 배부(背部)의 횡면(가로)을 재는 기준으로 적용된다.
(3) 체표표식법: 인체 자연적인 표식에 의한 취혈방법은 오관(五管)늑골 척추골 유두 등의 표식에 따라 혈(穴)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미간에서 인당혈, 양쪽 유두의 중심인 단중혈, 등을 찾아내는데 쓰인다.
(4) 특수한 동작 자세에 의한 취혈법: 이것은 사지(四肢)나 체구가 활동할 경우 나타나는 근육의 주름, 근육 요철모양(凹, 오목한 곳) 등에 혈을 찾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팔의 각도를 45도로 굽혔을 때 견정혈(肩貞穴)이라든가 팔꿈치를 굽혀 45도 또 45도로 하면 팔꿈치 관절 안쪽에 횡문이 생긴다. 이 횡문두에서 소해혈(小海穴)을 찾아낼 수가 있다. 모지와 인지와의 사이에 갈라지는 부분을 교차하고 한 손의 인지(人指)로 다른 손의 손목 뒤에 튀어나온 뼈 요골경상돌기(橈骨莖狀突起)를 누를 때 인지 끝에 닿는 자리에 열결혈(列缺穴)을 찾을 수 있지만 열결혈 같은 것은 골도법으로 쉽게 잡을 수 있어 잘 쓰이지 않는다. 특수한 동작 자세에 의해서 찾는 혈자리도 있다.
다음 - 3. 충맥(衝脈 Panetrating Vessel Meridian) - 계속
'14 정경(十四正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경팔맥(奇經八脈) 7 (0) | 2011.01.02 |
---|---|
기경팔맥(奇經八脈) 6 (0) | 2010.12.28 |
기경팔맥(奇經八脈) 5 (0) | 2010.12.23 |
기경팔맥(奇經八脈) 4 (0) | 2010.12.20 |
기경팔맥(奇經八脈) 2 (1) | 2010.12.02 |
기경팔맥(奇經八脈) 1 (4) | 2010.11.25 |
편작의 난경(難經)에 나오는 경락관계: 기공에 대하여 (3) |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