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사서(四書)
- 형명(刑名)
- 기경팔맥
- 성령 강림 대축일
- 한비자
- 한시
- 시
- 영화
- 노자
- 동양 도문화
- 쿤달리니
- 기공
- 사기열전
- 득도
- 한의학
- 전교가르멜
- 고전산책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편작
- 법가
- 황노(黃老)
- 사서오경(四書五經)
- 가톨릭정보
- 재속회
- 가톨릭
- 티베트의 지혜
- 황제내경
- 차크라(Chakra. cakra)
- 사마천
- Today
- Total
Hind's Feet on High Places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 玆山魚譜≫ 본문
인어꼬리 수영복
인어 꼬리 수영복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의 동물 중에 모습이 사람과 비슷하거나 내는 소리가 아이 우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인어라고 불린 것들도 있었다. 중국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에서 제어(䱱魚)를 인어·해아어(孩兒魚)라고도 하고, 예어(鯢魚)를 인어·납어(魶魚)·탑어(鰨魚)라고도 한다고 해설한 다음 기미(氣味)와 주치(主治)도 적었다. 정약전(丁若銓)은 ≪자산어보 玆山魚譜≫에서 인어 항목을 두어 “인어는 속명이 옥붕어(玉朋魚)이고 모양이 사람을 닮았다.”라고 한 다음, 살피건대 인어의 설에는 대체로 다섯 갈래가 있다고 하고 여러 가지 문헌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해설하였다. ① 제어:강이나 호수에 살며 모양과 색이 모두 점외(鮎鮠:메기를 말함)와 같고 그 볼(아가미 뚜껑을 말함)이 삐걱거리는 소리가 아이 우는 소리와 같기 때문에 인어라고 한다. |
② 예어:메기를 닮았고 네발이 있으며 앞은 원숭이를 닮았고, 뒤는 개를 닮았으며 소리가 어린아이 우는 소리와 같고 큰 놈은 몸길이가 8, 9자가 된다. 산골 물에서 살며 모양이나 소리가 모두 제어와 같지만 이와는 달리 나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③ 역어(○):모양이 메기와 같고 네 발이 있으며 꼬리가 길고, 소리는 어린아이를 닮았으며 대나무에 잘 오른다. 또한 역어는 곧 바닷속의 인어로서 귀·입·코·손·손톱·머리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살갗이 희기는 구슬과 같고, 비늘이 없고, 가는 털이 있다. 오색의 머리털이 말꼬리와 같고 길이가 5·6자가 되며, 몸의 길이도 5·6자가 된다. 바다 가까이 사는 사람이 잡아서 못에서 길렀더니 암수가 교합하는 것이 사람과 다를 바가 없었다. | ||
④ 교인(鮫人):물 속에 있으며 물고기와 같고 베틀로 베를 짜는 일을 버리지 않으며, 눈이 있어 잘 우는데 울면 눈물이 곧 구슬이 된다. ⑤ 부인인어(婦人人魚):사중옥(謝仲玉)은 부인이 물 속에 드나드는 것을 보았는데 허리 이하는 모두 물고기였으니 곧 인어였다고 한다. 또 사도(査道)가 고려에 사자로 갔을 때 바닷속에서 한 부인을 보았는데 붉은 치마를 입고 양어깨를 내놓고 쪽진 머리카락은 엉클어져 있었고 볼 뒤에는 붉은 갈기가 약간 있었다. 명하여 물 속으로 돌려보내 살려주자 손을 들어 절하고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물 속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이 두 부인설(婦人說)은 앞에서 말한 제어·예어·역어·교인과는 다른 것이다. |
또한, 정약전은 “지금 서남해에 두 종류의 인어가 있는데 그 하나는 상광어(尙光魚)이며 모양이 사람을 닮아 두 개의 젖을 가진다. 본초(本草)에서 말하는 해돈어(海豚魚)이다. 다른 하나는 옥붕어이며 길이가 8자나 되며 몸은 보통 사람과 같고 머리는 어린아이와 같으며, 턱수염과 머리카락은 치렁치렁하게 아래로 드리워졌고, 하체는 암수의 구별이 있어 사람의 남녀와 서로 매우 닮았다. 뱃사람들은 이것을 몹시 꺼려 혹시 어망에 들어오면 불길하다 하여 버린다. 이것은 틀림없이 사도가 본 것과 같은 종류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상광어는 돌고래류가 틀림없지만 옥붕어는 물범인 듯하나 확실하지 않다. 이 두 가지는 포유류인데 옛사람들은 어류로 오인하였다. 우리 나라 해역에는 없지만, 바다 소목의 포유동물인 듀공(dugong:홍해·인도양·서태평양 해안에서 삶)이나 바다소[海牛:서대서양에 분포]가 있는 지방에서는 이것들을 보고 인어라 하였을 것이다.
-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은 어릴 때부터 매우 재주가 있고 총명했으며 성격이 작은 일에 얽매이지 않아 거리낌이 없었다. 소년시절부터 서울에서 이윤하(李潤夏)·이승훈(李承薰)·김원성(金源星) 등과 깊이 사귀면서 이익(李瀷)의 학문에 접하여 심취하였다. 이어 권철신(權哲身)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을 더 깊이있게 배웠다.
1783년(정조 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자, 이에 만족하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여 1790년 증광문과에 응시,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전적·병조좌랑의 관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또, 서양 학문과 사상에 접한 바 있는 이벽(李檗)·이승훈 등 남인 인사들과 교유하고 특별히 친밀하게 지냈는데, 이들을 통해 서양의 역수학(曆數學)을 접하고 나아가 천주교에 마음이 끌려 신봉하였다.
1801년(순조 1)에 신유사옥이 일어나 많은 천주교 신도들이 박해를 입게 되자, 아우 정약용과 함께 화를 입어 정약용은 장기를 거쳐 강진에 유배되고, 그는 신지도(薪智島)를 거쳐 흑산도(黑山島)에 유배되었다.
흑산도에서 복성재(復性齋)를 지어 섬의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틈틈이 저술로 울적한 심정을 달래다가 끝내 풀려나지 못하고 16년 만에 죽었다. 저서로 ≪자산어보 玆山魚譜≫를 비롯, ≪논어난 論語難≫·≪동역 東易≫·≪송정사의 松政私議≫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자산어보≫만이 전해오고 있다.
≪자산어보≫는 그가 유배되었던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을 실지로 조사, 채집하여, 이를 어류(魚類)·패류(貝類)·조류(藻類) 및 해금(海禽)·충수류(蟲獸類) 등으로 분류, 각 종류의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에 관한 것까지 자세히 기록한 것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수산학 관계 서적이라 할 수 있는 명저이다. - 자료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 중앙연구원 [본문으로]
'문학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 잠자기 좋은 때 (0) | 2015.09.07 |
---|---|
신라 향가 - 제망매가(祭亡妹歌) (0) | 2015.08.27 |
왕필의 '노자주' (0) | 2014.05.11 |
잠시 - 잉게 솔 (0) | 2014.04.25 |
고려시대 대학자 이규보(李奎報)의 명언 (3) | 2011.11.11 |
네이버 오늘의 문학 '방진하(방지나)'<2000년의 낮과 밤> (0) | 2010.11.20 |
별헤는 밤 - 윤동주 (1) | 201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