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득도
- 시
- 한의학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황제내경
- 한시
- 동양 도문화
- 전교가르멜
- 기경팔맥
- 재속회
- 가톨릭정보
- 차크라(Chakra. cakra)
- 사서오경(四書五經)
- 형명(刑名)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기공
- 한비자
- 사마천
- 편작
- 고전산책
- 황노(黃老)
- 영화
- 법가
- 노자
- 성령 강림 대축일
- 티베트의 지혜
- 쿤달리니
- 사기열전
- 사서(四書)
- 가톨릭
- Today
- Total
Hind's Feet on High Places
양생도인법(養生導引法) 본문
동양의학상 고대 때부터 내려온 일종의 운동의학요법이다. 적응 범위가 넓고 치료효과도 높으며 습득하기 쉽다. 영위(榮衛)의 조화, 시혈의 소통, 경락의 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각 기관의 조정 질병치유 전신장수의 효능도 가지고 있다
- 기(氣), 혈(血)은 인체 내에 있는 두 가지 형태의 물질이다.
- 영(營)과 위(衛)는 일반적으로 기혈의 기능을 말하며, 영(營)은 인체의 내적인 영양 작용, 위(衛)는 외적인 작용 즉 방어의 작용을 수행한다.
- 위기(衛氣)는 경맥 밖에서 경락을 따라 운행하여 양(陽)에 속하고 영기(營氣)는 경맥 속에서 흐르며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음(陰)에 소속된다.
- 영(營)과 위(衛)는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 소화되어서 생기는 정기(곡기: 穀氣)이다.
- 특히 영기(營氣)는 경맥 속에서 운행하면서 안으로는 육장육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밖으로는 사지와 뼈에 영양을 공급한다
1. 조자(調姿: 고를 조, 맵시 자): 자세는 편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고 잡념을 제거한다. 의념을 하단전에 집중시킨다.
◁ 하단전: 임맥(任脈)의 기해(氣海) - 석문(石門) - 관원(關元)혈 사이
2. 유수(揉手: 머무를 유, 손 수): 따듯해질 때까지 왼손으로 오른 손등을 강하게 문지른다. 오른 손으로 왼손 등을 강하게 문지른다. 그것을 9의 배수로 한다.
3. 욕비(浴臂: 목욕할 욕. 팔 비): 오른손 바닥으로 왼팔을 힘을 주어 누르고 겨드랑이까지 문질러 올라간다. 바꿔서 오른 팔도 한다.
4. 견추견정(堅推肩井:굳을 견, 밀 추, 어깨 견, 우물 정): 두 손을 교차시켜 왼손으로 오른쪽 수태양소장경의 견정(肩井)혈을, 오른손으로 왼쪽 견정(肩貞)혈을 9번 누르고 18회 두드린다.
수태양소장경의 견정(肩井)혈
5. 횡마흉륵(橫磨胸肋: 가로 횡, 갈마, 가슴 흉, 갈빗대 륵): 두 손을 교차시켜 왼손으로 오른쪽 갈비뼈를 오른손으로 왼쪽 갈비뼈를 9의 배수로 문지른다.
6. 차요안(搓腰按: 비빌 차, 허리 요, 누를 안): 두 손으로 강하게 비벼 따듯해지면 그 손으로 허리 뒤쪽을 누르고 힘을 주어 둔부까지 주무르며 문지르기를 9의 배수로 한다.
7. 괄안명목(刮眼明目: 비빌 괄, 눈 안, 밝을 명, 눈목): 두 손바닥을 강하게 비벼 뜨거워지면 좌우 두 눈에 대고 좌로 9번, 우로 9번 눈알을 돌린다.
8. 고타명문(鼓打明門: 북 고, 칠 타 밝을 명, 문 문): 두 주먹을 쥐고 9의 배수로 양쪽 신장을 두드린다.
9. 날비방감(捏鼻防感: 이길 날, 코비, 막을 방 느낄 감): 좌우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코를 위에서 아래로 9의 배수로 문지른다.
10. 고치고신(叩齒固腎: 두드릴 고, 이 치, 굳을 고, 콩팥 신): 입을 다물고 이를 36회 부딪친다.
11. 교회탄진(攪海呑津: 어지러울 교, 바다 해, 삼킬 탄, 나루 진): 혀를 입안에서 좌우로 18회 돌려주고 생겨난 침을 3~5회로 나누어 삼키며 의념으로 단전까지 밀어 보낸다.
12. 정반유복(正反揉腹: 바를 정, 돌이킬 반, 주무를 유, 배 복): 두 손바닥을 포개 검상돌기 밑으로부터 임맥(任脈)의 곡골(曲骨)혈까지 시계방향으로 36회 반대로 24회 문지른다.
↑ |
13. 욕면비화(浴面鼻華: 목욕할 욕, 낯 면, 코 비, 빛날 화): 두 손을 뜨겁게 비벼 얼굴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9의 배수로 문지른다.
14. 욕두(浴頭: 목욕할 욕, 머리 두): 양 손으로 머리를 밑에서 위로 지압하듯이 9의 배수로 눌러준다.
15. 쌍명육고(雙鳴六鼓: 쌍쌍, 울 명, 여섯 육, 북고): 두 손바닥으로 양쪽 귀를 누르고 족소양 담경의 풍지(風池)혈을 9의 배수로 두드린다.
족소양 담경의 풍지(風池)혈
16. 차미골(搓尾骨: 주무를 차, 꼬리 미, 뼈 골):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미골 양쪽을 9의 배수로 문지른다.
17. 안마하지(按摩下肢: 주무를 안, 문지를 마, 아래 하, 사지 지): 좌측 다리를 펴서 좌측 손바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9의 배수로 문지르고 우측도 같이 행한다.
18. 안마용천(按摩龍泉: 주무를 안, 문지를 마, 용 용, 샘 천): 족소음신경의 용천(龍泉)혈을 9의 배수로 두드린다.
족소음신경의 용천(龍泉)혈
- <의방유취(醫方類聚)>205권에 양생도인법 - 바라문(婆羅門; 천축국天竺國) 안마(按摩)법, 노자(老子) 안마按摩)법이 소개되어 있다. <의방유취(醫方類聚)>는 1442년 세종대왕깨서 집현전 부교리 김예몽(金禮蒙)과 저작랑(著作郞) 유성원(柳誠源)등에게 의방(醫方)을 수집하게 한 뒤 집현전 직제학 김문(金汶)등 집현전 학자에게 하명하시어 전순의(全循義), 최윤(崔閏) 등 의관을 모아 편찬하게 한 다음 안평대군(安平大君)과 도승지 이사철 등에게 감수를 명하셨다. 세종 27년(1445) 시월에 편찬이 완성되어 성종 8년(1447)에 발간되었다. <의방유취(醫方類聚)>는 지금의 한방의학 백과 대사전과 같은 문헌으로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유일한 초판본이라는 점에서 의학 관련 인쇄문화연구에 있어서 국내외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문으로]
'수련기법 & 건강요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지날 크리야 목록(List of Original Kriyas) (0) | 2013.05.20 |
---|---|
급소공략 호신술(護身術) (3) | 2011.11.15 |
20 크리야(Kriyā) 비전 (6) | 2011.09.22 |
정체법 활원운동(活元運動) (0) | 201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