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득도
- 사마천
- 가톨릭
- 황노(黃老)
- 티베트의 지혜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쿤달리니
- 사기열전
- 한의학
- 한비자
- 노자
- 동양 도문화
- 황제내경
- 영화
- 차크라(Chakra. cakra)
- 한시
- 기경팔맥
- 사서오경(四書五經)
- 편작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가톨릭정보
- 사서(四書)
- 법가
- 고전산책
- 전교가르멜
- 기공
- 형명(刑名)
- 성령 강림 대축일
- 재속회
- 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청천벽력(靑天霹靂) (1)
Hind's Feet on High Places
청천벽력(靑天霹靂) 방옹이 병석에서 가을을 보내고 홀연이 일어나 취하여 글을 쓰니 마치 오래 움츠렸던 용과 같이 푸른 하늘에 벼락을 치네 放翁病過秋 忽起作醉墨 正如久蟄龍 靑天飛霹靂 [출전] 육유(陸游 1125~1220, 호 放翁)1)의≪검남시고(劍南詩稿)≫ 9월 4일「계미명기작(鷄未鳴起作; 닭 울기 전 지은 작품) 」에 나오는 오언절구(五言絶句)이다. 첫 구절에 방옹이라고 한것으로 보아 스승을 추모하는 문하생이 지은 시가 아닐지? 세월이 지나 원래의 '청천비벽력'은 후진들이 '청천벽력(靑天霹靂)'으로 생략하여 1. 맑게 갠 하늘의 벼락(날벼락) 2. 약동(躍動)하는 필세(筆勢)나 생각지도 않은 무서운 일 3. 갑자기 큰 사건이나 이변(異變)의 비유로 사용하였다. 劍門2)道中遇微雨 검문관을 지나는 길에 가..
한시(漢詩) & 사(詞)
2012. 7. 19.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