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의학
- 편작
- 쿤달리니
- 한시
- 사서오경(四書五經)
- 영화
- 황노(黃老)
- 시
- 노자
- 바르도 퇴돌 첸모(Bardo Thodol Chenmo)
- 형명(刑名)
- 황제내경
- 차크라(Chakra. cakra)
- 고전산책
- 득도
- 기공
- 재속회
- 티베트의 지혜
- 사마천
- 기경팔맥
- 성령 강림 대축일
- 전교가르멜
- 한비자
- 법가
- 가톨릭정보
- 사서(四書)
- 가톨릭
- 동양 도문화
- 사기열전
- 성녀 예수의 데레사
- Today
- Total
Hind's Feet on High Places
그리스도의 신비체 본문
전교가르멜 재속회 직장인반
3월 월례회 과제물
프란치스코 빨라우신부님의《교회와 나의 관계》3장
1. 현존하시는 하느님을 만나는 체험을 위한 준비
자기 자신의 죄(罪)를 성찰하고 그것들을 고칠 각오를 하며 하느님의 은총을 청하는 기도를 드린다. 《교회와 나의 관계 》2장 3절, 4절 참조
◈ 여기서 자기 자신의 죄(罪)에대한 성찰(省察)은 이기심, 자기중심, 자기 우상화인데 십자가의 성요한의 저서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 선입견, 편견, 자애심, 오만(교만), 이중잣대, 그릇된 판단, 편집증, 게으름, 고정관념, 하느님 원의를 거스름
* 지나치게 슬퍼함(무엇을 기뻐하여 바램하며 슬퍼하고 두려워 하는 일)
* 허영, 자부, 참월(분수에 넘침), 자기일에 대한 집착으로 인하여 바른 가르침을 받을 자격을 상실하는 것.
* 세상 사람들에게 보이고자 하는일데 대한 재미삼음, 완덕을 닦아나가는데 있어서 지구력을 상실하는 일, 자기 뜻에 맞는 것만 좋아하는 일 등이다.
2. F. 빨라우 신부님은 어떻게 기도 하셨는가?
현존체험의 부재 시에 따르는 비참한 감정으로 인하여 짓눌리는 마음가운데서 지속적인 현존을 갈망하시며 끊임없이 기도를 바치셨다.
1. 하느님 현존이 끊임 없이 이어지는 갈망과 탄원, = 3장, 2절
2. 그리스도 신비체인 교회의 현존을 위한 갈망과 탄원 = 3장 2절
3. F. 빨라우 신부님의 기도의 특징으로 차별화 되는 요소는?
1. 교회에 대한 인격적인 현존체험: 성서 속 상징되는 인물로 현시되어 영적 신비가 계시되는 현존 체험 및 영적합일
2. 그리스도 신비체인 교회와의 일치 = 영적 혼인성사
주님의 거룩한 사제이자 부성애를 지닌 아버지로서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 하느님의 부성애)와 동일한 머리이신 F. 빨라우 신부님
'창립자 F.빨라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요한 에우데스 사제의「예수님의 나라」 (0) | 2011.11.18 |
---|---|
창립 축일(11월 7일) 이전 → 재속회 서약 & 갱신서약 (0) | 2011.11.02 |
성녀 예수의 데레사 동정 교회학자 (0) | 2011.10.15 |
성무일도 <초대송> (2) | 2011.10.10 |
성 아우구스띠노의「목자들에 대한 강론」 (0) | 2011.09.22 |
시편 27장 주님은 나의 빛 (0) | 2011.05.05 |
축 빨라우신부님 축일 & 창립기념일(축일 이동 11월 7일 ▷ 11월 3일) (1) | 201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