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d's Feet on High Places

장자(莊子) 소요(逍遙) 제물(齊物)의 절대자유의 경지 2 본문

중국고전문학

장자(莊子) 소요(逍遙) 제물(齊物)의 절대자유의 경지 2

성지 2010. 8. 5. 20:39
자(莊子)의 소요(逍遙) 제물(齊物)의 절대자유의 경지




「소요유(逍遙遊」의 사전적인 의미는  ‘소(逍)’는 이리저리 거닐다. ‘요(遙)’는 먼데서 멀리 떨어지다. ‘유(遊)’는 놀다, 즐겁게 지내다. 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장자(莊子)》내편(內篇)「소요유(逍遙遊」는 장자가 자신의 사상을 총 정리 한 것으로 절대적인 인간의 자유추구에 목표를 두고 그에 도달하는 방법을 논술한 것이다. 



당시 유가의 사상에 지배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유가적 사유를 비판하여
 유가(儒家)의 천명사상에 대한 반발, 무위자연을 최고로 제시하였다. 상식적인 생각과 세속적인 가치를 큰 소리로 비웃는 사상가 장자(莊子)는「소요유(逍遙遊)」첫 구절에서 이처럼 말한다.


   

   “北冥有魚 其名爲鯤。鯤之大 不知其幾千里也。化而爲鳥 其名爲鵬。鵬之背 不知其幾千里也。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南冥者。天地也。”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고 한다. 곤의 크기는 몇 천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곤이 변해 새가 되는데 이름을 붕(棚)이라 한다. 붕새의 등의 넓이는 몇 천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면 그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다. 이새는 바다가 움직이면 남쪽바다로 이사하려 한다. 남쪽 바다는 남명이다.



그런데 이 곤이라는 물고기의 크기가 몇 천리나 되는지 또 붕새의 등의 넓이가 몇 천리가 되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하는 이 허구를 표현한 과장법은 사실세계에 대한 경험적 인식을 벗어나고 싶을 때 사용되는 언어의 유희이며 과장법은  모든 객관적 규정과 결정가능성의 세계를 초탈하고 싶은 초현실의 요구를 담고 있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허구의 세계인 무한의 시공간으로 날아가는 붕(鵬)새를 표현한 통쾌한 해학을 통해 절대 자유의 경지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혼란한 세속의 인간이 만들어놓은 그 무엇, 어떠한 가치 기준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삶이다. 즉 「소요유(逍遙遊)」란 무엇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삶을 뜻하며 만물이 존재하는 근본원리를 도(道)라 하여 이 도의 견지에서 보면 현실세계의 모든 대립과 차별은 허망한 것이어서 만물은 아무런 구별이 없다는 것이다.



대붕의 경지를 묘사한 장자의 언급을 토대로 보면 유(遊)는 도의 체득을 통하여 세속의 혼란한 진상에서 절대자유의 경지로 나가는 것이며 그 다음 자신이 속한 사유체계의 구속을 잊고 무애(無礙)의 상태에서 기의 흐름에 내맡겨 기대지 않는(無待) 상태로 자유로이 노니는 성인(聖人), 지인(至人), 신인(神人)의 경지에서 ‘유(遊)’의 측면을 발견한다.



장자「제물론(齊物論)」의 사전적인 의미는 제(齊)는 가지런하다. 같다. 갖추다. 모두, 다, 똑같다는 뜻이고 물(物)은 만물, 일, 무리, 종류. 라는 뜻을 지닌다. 장자가 공자나 맹자의 유가사상과 다른 이분법적 사유는 본질적인 배타적 특성이 있는데 필연적 가치 판단으로 연결된다.



장자는 세계는 진위(眞僞), 선악(善惡), 생사(生死), 미추(美醜), 
성패(成敗), 득실(得失), 장단(長短), 대소(大小)등으로 이원화 되어있다고 생각한다. 이분법적 사유의 판단으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나 선을 추구하고 악을 피할 것을 요구받는다.



인간은 욕구의 대상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 때 기뻐하고 
대상의 획득에 실패할 때 화를 내고 슬퍼한다. 시비, 선악, 진위 등의 가치에 대해 장자는 ‘천예(天倪)’라는 은유법으로 시비, 선악을 나누는 사유를 부정하며 장자는「제물론(齊物論)」에서  다음과 같이말한다.



  “何謂和之以天倪曰 是不是 然不然 是若果是也。則是之異乎不是也 亦無辯。然若果然也 則然之異乎不然也。忘年忘義 振於無竟.故寓諸無竟。
천예(天倪, 자연의 길)로서 모든 것을 조화시킨다고 말하는 것이 무엇을 말 하는가 옳음이 있고 옳지 않음이 있고 그러함이 있고 그렇지 않음도 있다. 옳음이 과연 옳다면 옳음은 옳지 않음과 다를 것이니 또한 판단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함이 과연 그러하다면 그러함은 그렇지 않음과 다를 것이니 또한 판단하지 않아야 한다. 나이를 잊고 의리를 잊으면 경계가 없는 세계로 나아간다. 그러므로 경계가 없는 곳에 머문다.



모든 시비판단의 근저에 있는 이분법적 사유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진(眞), 생(生), 대(大), 시(始), 아(我)등의 우월개념들은 언제나 이미 위(僞), 사(死), 소(小), 말(末), 타(他) 등의 열등개념들에 의해 암암리에 보충 대리되고 있음을 일깨워 이분법적 사고의 한계를 폭로한다.[각주:1]



  “鳥見之高飛。糜鹿見之決驟 四者孰之天下之正色哉。毛嬙麗姬 人之所美也。魚見之深入。 
모장(毛嬙)과 여희(麗姬)는 사람마다 아름답다고 하지만 물고기가 그를 보면 깊이 숨고 새는 그를 보면 하늘높이 날아오르며 순록은 그를 보면 재빨리 달아난다. 이 넷 중에 어느 것이 이 세상의 올바른 아름다움을 알고 있는가. 

 
장자는 이분법적 사유구조의 그 구조가 쉽게 역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과 같이 「제물론(齊物論)」에서 말하고 있다.


  

  “是亦彼也。彼亦一是也。彼亦一是非 此亦一是非。果此有彼是乎哉。果且無彼是乎才。彼是莫得其偶 爲之道樞。樞始得其環中 以應無窮。是亦一無窮 非亦一無窮也。故曰 莫若以明。” 
이것이 저것이고 저것 또한 이것이다. 저것도 또한 하나의 시비이고 이것도 하나의 시비이다. 과연 저것과 이것이 있단 말인가? 과연 저것과 이것이 없다는 것인가? 저것과 이것이 그 대립을 없애버린 경지 이를 도추(道樞)라고 한다. 추는 처음으로 고리의 중심에 있으면서 무궁한 변화에 대응한다. 옳음도 하나의 무궁한 변화이며 옳지 않음도 하나의 무궁한 변화이다. 그러므로 명지에서 바라보느니만 못하다고 말한다.



장자는 이것과 저것, 옳고 그름은 각각 다른 것과의 
차이에서만 의미 있다고 진술함으로 자기와 다른 것을 동시에 긍정하는 이중긍정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추(樞)로서의 도(道)의 기능을 말한다. 문을 여는 기능만을 하는 것도 아니고 닫는 기능만을 이야기하는 것도 아닌 추(樞)의 이중부정의 논리는 동시에 문을 열고 닫는 이중긍정의 論理와 같다.



장자는 은유를 통해 이분법적 존재론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절대적인 의미추구에 의해 다른 것을 부정하고 배척하는 사유구조를 해체해야 함을 알려준다.[각주:2]



장자는 대립을 부정하지만 차이는 수용한다. 「제물론(齊物論)」 첫 구절에 남곽자기(南郭子綦)와 제자 안성자유(顔成子游)의 대화 ‘천뢰(天籟)’를 설명한 마지막 문장 ‘그러면 누가 소리를 내는 것일까?-怒者其誰邪-’라는 의문문은 어떤 절대적인 원리로서의 ‘도(道)’에 의해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닌 천뢰(天籟), 인뢰(人籟), 지뢰(地籟)등 다양한 구멍으로 ‘차연의 법칙’에 따라 소리들이 흩뿌려 지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다양한 소리의 
대 긍정을 상징하는 것이다. 차연과 흔적의 도(道)는 자기 동일성적 절대존재가 아니기에 끊임없이 변화하고 어떤 고정된 실체를 지니지 않는다.[각주:3]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물, 어떤 실체와 구조로 고정되지 않는 도는 인간에게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제물론(齊物論)」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 喜怒哀樂 慮嘆變慹 姚佚啓態 樂出虛 蒸成菌 日夜相代乎前。而莫知其所萌 已乎已乎 旦暮得此 其所由以生乎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한탄, 변덕, 두려움, 어여쁨, 방탕, 허세 부리기 등은 음악이 빈 구멍에서 나오고 습기가 버섯을 만들고 밤낮이 서로 번갈아 앞에서 나오지만 그 씨앗이 싹트는 바를 알지 못한다. 그만 두어라 아침저녁으로 이것을 얻으니 생겨나는 곳이 있겠느냐.


이는 새것과 옛것이 어떤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시간의 흐름과 함께 끊임없이 저절로 변화하는데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변하지 않는 자아, 자기 자신, 인간적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장자는 이에 대해 간단한 답을 제시한다. ‘완전한 사람은 자아가 없다.’고 ……



또「양생주(養生主)」는 참된 삶을 누리게 하는 요체를 뜻하고 ‘백정이 소를 잡는(包丁解牛)’ 우화에서 ‘유(遊)’의 경지를 느끼게 한다. 백정(庖丁)은 천목(天目)이 열린 소 잡는 달인으로 본래 소가 지닌 해부학적인 견지에서의 천리(天理)를 꿰뚫어보는 상태를 말하였다. 장자가 말하는 ‘유(遊)’의 경지는 주체와 대상이 분리되지 않고 주객이 하나로 합일 된 상태인 물화의 경지를 말하는 것이다.



절대자유에 이르기 위한 심제(心齊), 좌망(坐忘)등의 방법도 ‘유(遊)’의 경지이며 이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이르는 절대자유의 경지도 ‘유(遊)’이다.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없어져 모두 하나가 되는 ‘물화(物化)’의 경지인 ‘유(遊)’는 세상의 법칙이자 놀이의 규칙인 도(道)를 따름으로 만물의 변화인 세상의 참모습을 보고 자신도 그 만물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소요유(逍遙遊」는 대소장단의 상대적 판단기준을 이탈하여 그 무엇에도 집착과 간섭을 받지 않는 참된 자유의 세계에 살고자 하였다.



유가는 인문주의의 고질적인 사고를 지니고 장자가 인간이 창조주의 원형인 진(眞), 선(善), 미(美)의 순수한 본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하여 은둔을 지향하고 그것을 주장하는 사상가로 단정하였다.  즉 역사의 흐름이 인간을 고뇌하게 만들 때에 
역사와 문화의 구속으로부터 도피하여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제시한 철학가로 장자를 생각한 것이었다.



인간은 자유를 갈망하는 반면, 무수한 법규와 조문들로 스스로를 구속하고 인간 내면에 내재된 갖가지 욕망은 부와 명예를 추구하여 다른 사람의 자유를 속박하고 억압하며 욕망의 실현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한다.
 

장자는 인간이 추구해온 명성, 부귀, 권세, 지위 등이 만들어 놓은 세속적 가치들의 구속을 던져버리고 드넓은 절대자유의 공간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현실적 상황 속에서 수양을 통해 세상을 포용하는 경지로 나갈 수 있음을 설파(說破)한 것이었다.



도와 일체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장자는 노자의 사상보다 더 철저해진다. 
노자의 무위나 장자의 무위가 인위를 배척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노자의 무위는 외향적이나 장자의 무위는 더욱 내면화되어 무심까지 이른다. 


무위자연의 철학의 근저에는 현실세계의 대립과 차별상에 대한 철저한 비판의식이 깔려있다. 동양사상속에서 부정의 논리와 부정의 정신은 노자와 장자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무심의 경지까지 철저해진 장자의 무위는 도와 일체되어 대립, 차별의 현실세계를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임으로써 오히려 자유로운 삶을 획득할 수 있다고 장자는 말한 것이다.



어쩔 수 없는 현실, 부득이한 현실을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오히려 자유로운 삶을 획득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장자의 철학은 부자유한 현실로부터 절대자유를 향한 초월로서 현실을 절대 외면하는 것이 아니고 현실 속을 돌파해 나가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안고 뛰어넘는 포함하여 초월하는 논리이며 장자가 추구하는 정신의 절대자의 모습이 여기에 드러난다. 


약자의 강자로의 전환, 죽음이 삶에의 전환, 부자유의 자유로의 전환인 것이다. 도와 일체화. 무심의 경지에 들기 위한 수양의 방법은

‘심재(心齋)’《장자 ․ 인간세(人間世)》와 ‘좌망(坐忘)’《장자 ․ 대종사(大宗師)》을 들고 있는데 ‘심재(心齋)’는 마음의 허무화(虛無化)라는 뜻이고 ‘좌망(坐忘)’은 수족이나 신체의 작위를 물리치고 이목의 감각작용을 제거하여 육체를 떠나고 심지까지도 버리고 모든 사물에 자유로이 소통하는 도와 일체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인위를 배척한 무위자연에서 노자와 장자는 같다. 인위적 관점에서 쓸모없는 이른바 무용이 실은 유용한 것이라는 가치의 전환을 말하는 점에서도 노자와 장자는 같다. 그런데 이 같은 무용의 유용의 전환은 도가철학의 인순주의의 효용임은 말할 것도 없다.[각주:4] 무위자연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자연의 존재를 회복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회복하는 방법에는 장자는 자유로운 경지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간의 모든 의식,  감각기관의 작용이나 일체의 지식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의식은 자연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뿐만이 아니라 개인적 자유를 달성하는 데도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이다. 그가 설명하는 자연이란 무의식적이고도 맹목적인 존재와 같아서 그것이 운동과 변화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력이 전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장자는 자연에 맡기는 것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고 제시한다.



혼돈의 상황아래 자연과 모순, 대립관계에 있는 인간의 차별적 의식의 배제 없이는 자연에 맡긴다는 의식을 지닐 수도 없으며 따라서 자유로울 수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자의 절대자유의 경지는 즉 인간적 의식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소요유」,「제물론」뿐만이 아니라 《장자》 전편에 드러난다.
 

「대종사(大宗師)」의 좌망의 설화에서 육체적인 구속을 벗어나고 소지를 버리라는 논지가 ‘좌망(坐忘)’의 참 뜻이며 모든 사회적인 이념과 욕망을 제거함으로 도의 자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삶과 죽음에 대한 의식이 없는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우선 世上의 모든 외적 대상을 잊고 삶의 욕망을 잊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종사(大宗師)」의 조철(朝徹)의 방법과 좌망은 개인의 자연적 본성의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첫 째의 방법으로  학문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과는 반대된다. 「선성(繕性)」편에는



  “繕性於俗學 以求得其初 滑欲於俗思 以求致其明 謂之蔽蒙之民。”
세속적인 학문으로써 본성을 닦아 자신의 밝은 지혜를 구하려 하는 사람을 어리석은 자라고 한다.
 



여기서 세속적인 학문이나 생각이란 
분석적, 사변적인 방법이나 생각을 말한다. 장자는 이러한 방법으로는 인간의 본질적 물음에 대답할 수 없으며 그가 추구하는 자유로운 상태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장자의 도를 체득하는 방법 중 하나의 특징은 일손법(日損法, 나날이 덜어내는 법)이다. 덜어간다는 것은 나와 도(道)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일체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장자는 도의 본래의 모습을 혼돈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는데  「북지유(知北遊)에서



  “故曰 爲道者日損 損之又損之以至於無爲
또 도(道)를 이루는 자는 날마다 덜어야하는 것이니 덜고 또 덜어서 무위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
.



라고 말하여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방법을 
예(禮)를 비롯한 의(義), 인(仁), 덕(德)의 역 과정을 날마다 덜어 가야한다는 일손법을 제창하였다.



  “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禮者道之華 而亂之道也。” 
도를 잃은 이후 덕이 생기고 덕을 잃은 이후에 인이 생기며 인을 잃은 후에 의가 생기고 의를 잃고 나서 예(禮)가 생긴다. 예란 도의 장식품 같지만 모든 혼란의 시초이다
.


라고하며 도(道)의 세계에서 인간세상으로 나가게 된 과정을 도(道) → 덕(德) → 인(仁) → 의(義) → 예(禮)로 설정하였다. 인간의 자유 실현은 도(道) 수련으로 신과 하나가 되는(神我一致) 지경까지 도달해야 이룰 수 있다. 그러기 위해 먼저 도를 인식하고 체현해야한다. 도의 체현은 ‘물화(物化)’를 통해 드러난다. 물화란



“與物化者 一不化者也。” - 물(物)과 함께 변화하는 것은 한결같은 변화를 못하는 것.- 으로 즉, 세계의 변화에 자신을 맡기되 아무런 질적 차이가 없는 완전한 동화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서로 자신의 위치를 지키며 조화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물화란 밖은 변해도 안은 변하지 않는 주체의 확립이 이루어져야만 진정으로 가능하다. 《장자 ․ 제물론》호접(胡蝶)의 꿈 우화에서



  “昔者莊周夢爲胡蝶 栩栩然胡蝶也自喩適志與 不知周也 俄然覺 則遽遽然周也 不知周之夢爲胡蝶 胡蝶之夢爲周與? 周爲胡蝶 則必有分矣此之爲物化。”
언제인가 장주(莊周)는 나비가 된 꿈을 꾸었다.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된 체 유유자적 즐기면서 자기가 장주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그러다 문득 깨어보니 틀림없이 장주가 아닌가? 도대체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지 아니면 나비가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장주와 나비는 반드시 구분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물화라고 한다
.


이는 주체와 객체의 경계가 어떤 간격 없이 하나가 된 이상적인 경지를 묘사한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하나의 상태지만 ‘반드시 구분이 있다.’는 말은 자연과 합일되었지만 주체를 확립한 상태에서 물과 함께 간격이 없는 변화를 이룬 것이다. 이러한 주체의 확립은 독(獨)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독이란 천하(天下), 외물(外物), 생(生)을 잊은 뒤에 찾아오는 경지이다. 이러한 독은 정신적인 측면에서 대립이 없는 경지라고 말한다. 도를 체득한 상태인 독(獨)에서 진정한 물화를 느낄 수 있다.[각주:5]



장자는 만물 존재의 근본원리를 도(道)라 하여 이 도의 견지에서 현실세계의 모든 대립과 차별은 허망한 것이 되어 만물은 아무런 구별도 없게 된다고 하였다.《장자 ․ 제물론》의 ‘천균(天鈞)’이란 곧 세속의 시비(是非) 가치의 편견이 옳음도 없고 그릇됨도 없는 실재의 하나(一)에 조화되는 것으로 심지(心知)의 분별을 방기(放棄)하는 저절로 같은 하나(一)이고 ‘양행(兩行)’이란 곧 모든 모순과 대립을

동시에 성립시키는 혼돈 이라 하여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철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만물제동의 철학에는 극소(極小)가 오히려 극대(極大)가 되고 큰 것이 오히려 작은 것이 된다고 하여 만물제동의 철학을 가능케 하였다.



이 만물제동의 철학을 근거로 도와 일체화를 통해 대립, 차별의 현실세계의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인다. 이는 참된 자유의 삶을 획득할 수 있는 절대자유의 경지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장자는 말한다. 부득이한 현실을 그대로 수용함으로 오히려 자유로운 삶을 획득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장자 사상의 핵심은:

  1. 부정(否定)의 논리 수립. 무의 진실이 여기에 있다.(중국사상의 이분화 유가, 도가)


  2. 인생의 진실추구, 숭고한 개인의 존엄성, 자유성, 독립성을 극도로 추구함.


  3. 현실생활을 문제화시켜 근본적으로 비판의 입장을 명확히 하였다.


  4. 우언이라는 문학적 표현을 이용해서 독특한 사상을 개발하여 암시적, 풍자적 해학성을 표현하였다.



인위적 행위를 통해 정치문화가 본래의 자연성을 상실하여  그것을 덮어버리는 허위성의 부정과 착오를 예리하게 비판하였다. 유가는 윤리적인 협동,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추구를 하였으나 반면 장자는 현실초월을 지향하여 개인의 근원적인 정신영역의 존엄성을 추구한 것이다.







  1. 金相來,《老莊思惟의 解體的 理解》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131~133. [본문으로]
  2. 상동(上同), 金相來 博士學位論文 p135~137. [본문으로]
  3. 상동. 박사학위 논문 p 155, 김형효「데리다와 老莊의 讀法」 [본문으로]
  4. 安炳周,「莊子」“萬物齊同의 哲學과 因循主義” 참조. [본문으로]
  5. 魯承滿, 《老莊의 自由哲學에 관한 硏究》p 58. [본문으로]
Comments